사진과 화면 캡처 저장할 때, 이 것이 정답이다!
이미지 포맷 퀴즈
그림의 특징에 따라, 더 잘 어울리는 이미지 포맷이 있다는 사실. 내가 얼마나 이미지 포맷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간단한 이미지 포맷 퀴즈로 확인해 보자.
1. 글씨가 많은 화면 캡처는 어떤 파일로 해야 될까?
① gif ② jpg ③ bmp ④ psd

만약 ‘jpg’라고 대답했다면, 이 블로그를 끝까지 읽어주길 바랍니다.
2.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 사진은 어떤 파일로 해야 될까?
① gif ② jpg ③ bmp ④ psd

만약 ‘gif’라고 대답했다면, 당신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것입니다.
3. 메모리가 넉넉할 때는 사진들을 어떤 파일로 저장하는 게 좋을까?
① gif ② jpg ③ bmp ④ psd

대체 왜 이런 것일까?
이미지의 용도와 특성에 맞는 포맷을 선택하면, 더 효과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파일 포맷별 특징과, 이미지 성격에 따라 어떤 포맷으로 저장하면 좋은지 알아보자.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
이미지는 다양한 포맷으로 나뉘며, 어떤 경우에는 용량이 적은 대신 과도한 압축으로 인해 화질이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 포맷의 선택은 결과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이미지 파일 포맷을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인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에 대해 알아보자. 이 두 방식은 이미지의 저장 용량을 줄이는 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그에 따라 화질 유지 여부도 달라질 수도 있다.
● 손실 압축 (Lossy Compression)
손실 압축은 말 그대로 일부 데이터를 버리는 방식입니다. 사람의 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을 생략해 이미지 용량을 줄이는데, 그만큼 화질이 조금씩 저하될 수 있다. 웹 페이지, SNS, 모바일 앱 등 빠른 로딩과 작은 용량이 중요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JPG(JPEG) 포맷이 여기에 해당된다. 단점은, 저장을 반복할수록 점점 더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 무손실 압축 (Lossless Compression)
무손실 압축은 이미지의 모든 정보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용량을 줄이는 방식이다. 픽셀 하나까지 정확히 복원되기 때문에, 이미지 편집, 인쇄, 스캔본 저장 등 고화질이 중요한 작업에 적합하다. 다만, 용량이 큰 편이라 저장 공간이나 전송 속도 측면에서는 불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JPG에 대하여
JPG의 풀네임은 JPEG로,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약자이다. 직역하면 '전문 사진가 그룹' 정도가 되는데,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카메라로 찍는 사진처럼 색이 많은 이미지에 많이 쓰인다.
JPG는 컴퓨터가 사용하는 24비트 색상(약 1,670만 가지의 색상) 전체를 지원하여, 색이 많이 변하는 사진 같은 이미지에 딱 어울린다. 게다가 용량도 작아서, 파일 크기가 부담스러운 사진도 가볍게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용량이지만 고품질로 저장할 수 있는 포맷인 셈이다.
JPG의 용량이 작은 이유는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이미지 크기를 줄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이미지를 압축할 때 이웃한 픽셀들 사이에 근소한 차이를 압축에 유리하도록 변경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므로, 압축률이 높아질수록 화질은 낮아지고 대신 파일은 훨씬 작아진다. 하지만 그만큼 이미지에 왜곡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둬야 한다.
![]() |
원본, 335KB |
![]() |
80%압축, 77.9KB |
![]() |
90% 압축, 36.9KB |
압축률이 강해질수록 화질이 떨어지는 jpg의 모습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압축 과정에서 디테일이 손실되기 때문에 텍스트처럼 경계가 뚜렷한 이미지를 JPG로 저장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 대신 JPG는 사진처럼 색이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저장할 때 제격이다.
GIF에 대하여
GIF는 사진을 표현할 때는 잘 쓰이지 않는다. 대신 우리가 흔히 보는 짤방이나 간단한 아이콘에 자주 쓰이는데, 그 이유는 뭘까?

GIF 압축 방식은 수평방향으로 같은 색상이 몇 번 반복되는가를 기록한다. 연속된 픽셀 값이 'WWWWBBYYYYYYYWWW"라면 'W4B2Y7W3'와 같이 기록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수평으로 같은 색상이 반복하여 나오는 이미지에 유리하다. 즉, 화면 캡처라든지 손으로 그린 일러스트 이미지에 적합하고, 사진과 같이 색상이 자주 변하는 이미지는 오히려 불리하다.
또한, GIF는 표현할 수 있는 색상에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GIF는 '팔레트'라는 방식으로 색을 저장하는데, 이 팔레트 안에 담을 수 있는 색이 고작 256가지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이 복잡한 이미지를 저장하면 색이 깨져 버리거나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물론 GIF 압축 시 이미지에 적합한 팔레트를 적절히 선택하면 어느 정도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GIF는 주로 단순한 그래픽, 아이콘, 일러스트처럼 색이 많지 않은 이미지에 잘 어울린다. 다만, JPG와는 다르게 무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해서, 파일 크기를 줄이더라도 이미지 품질은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PNG에 대하여
PNG는 무손실 압축 형식을 사용해서 원본 그대로 저장하므로, 몇 번을 저장해도 이미지 품질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색상 제한이 없기 때문에 복잡한 색감을 가진 고해상도 그래픽을 표현할 때도 매우 유리하다. 단, 이렇게 퀄리티가 좋은 만큼 파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은 감수해야 한다.
또한, PNG는 투명 배경을 지원하므로, 로고나 배경을 없앤 이미지를 사용할 때 특히 유용하다. PNG는 투명 배경이 필요한 로고나 웹 그래픽뿐 아니라, 최근에는 메모리 용량의 증대에 따라 스크린숏, 고해상도 일러스트 등 다양한 이미지에 많이 쓰인다.
그 외의 이미지 포맷들
jpg, gif, png처럼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특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PSD, BMP, TIFF 같은 이미지 포맷들이 있다.

● PSD - 포토샵 작업 공유에 용이
우선 PSD는 어도비사의 포토샵 전용 포맷으로, 최종결과뿐만 아니라 중간 편집 정보를 보존할 수 있어서 디자인 작업 중간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포토샵에서만 쓸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제한되고, 작업과정이 전부 저장되다 보니 파일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 BMP - 화질의 끝판왕
BMP는 무압축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원본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저장하기 때문에 이미지 품질 손실이 없고 모든 색상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화질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파일 크기가 매우 커서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다.

● TIFF - 인쇄용 고화질 이미지의 최강자
TIFF는 원래 스캔된 이미지 저장을 위해 만들어진 고품질 이미지 포맷으로, 무손실 또는 손실 압축을 모두 지원한다. 이에 출판이나 인쇄처럼 디테일이 중요한 작업에서 많이 쓰인다. 그러나 파일 크기가 크고, 웹 환경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미지 포맷 퀴즈 해설
1. 글씨가 많은 화면을 캡처할 때, 왜 JPG보다 GIF를 써야 했을까?
그 이유는 바로 JPG의 손실 압축 방식 때문이다. JPG로 저장하면 이미지 디테일이 손실되면서, 글자가 뭉개져 보이거나 흐릿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용량도 작으면서 무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GIF가 훨씬 더 적합하다.
2. 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왜 GIF 대신 JPG로 저장하는 걸까?
GIF는 최대 256가지 색상만 표현할 수 있어서, 원본 사진의 풍부한 색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 반면, JPG는 1,670만 가지 색상을 지원하고, 용량도 적당히 작아서 사진처럼 색이 다양한 이미지를 저장할 때 훨씬 유리하다
예) 다음은 색상이 다양한 이미지를 각각 jpg로 저장했을 때와 gif로 저장했을 때이다.
![]() |
| jpg로 저장했을 때 | gif로 저장했을 때 |
![]() |
![]() |
반대로, 단순한 아이콘과 같은 GIF 이미지를 jpg(손실 압축 방식)로 저장하면, 오히려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gif로 저장했을 때 | jpg로 저장했을 때 |
![]() ![]() |
![]() ![]() |
3. 메모리가 넉넉할 때는 왜 사진을 PNG로 저장하면 좋았을까?
PNG는 무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질 손상 없이 최고의 이미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그만큼 파일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어 저장 공간이 넉넉할 때 쓰는 것이 좋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포맷별 특징 요약
이미지 포맷의 특성을 잘 이해하면, 상황에 맞게 더 효율적이고 깔끔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단순히 저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떤 이미지를 어떤 포맷으로 저장하느냐에 따라 작업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 정리한 각 포맷의 특징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앞으로는 용도에 맞는 이미지 포맷을 똑똑하게 선택해 보자!
| 파일 포맷 | 특징 | 손실/무손실 압축 | 사용 예시 |
| JPG | 색 표현 풍부, 용량 작음 | 손실 압축 | 사진, 웹 이미지 |
| GIF | 256색 제한, 애니메이션 가능 | 무손실 압축 | 짤방, 간단한 아이콘 |
| PNG | 투명 배경, 품질 유지 | 무손실 압축 | 로고, 웹 그래픽 |
| PSD | 레이어 정보 저장, 편집 가능 | 무손실 압축 | 디자인 작업 파일 |
| BMP | 화질 최고, 용량 큼 | 무압축 | 고정밀 저장용 |
| TIFF | 고해상도, 인쇄용 최적화 | 손실/무손실 | 스캔본, 출판, 인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