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3

[UX/UI 실습#12] 휴리스틱 평가 시행

과제 개요 지난주 제작한 디지털 프로토타입에 대해 휴리스틱 평가를 수행하여 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좋은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파악한다. 휴리스틱 평가는 팀원들 각자가 직접 실시하여, 사용성에 대한 최소 20개 이상의 침해사항(Usability Violations)을 찾는다. 실습 목표 : 닐슨의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에 따라 현재 작성 중인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 파악한다.준비물 : 이전 단계에서 작성한 각 시나리오 별 디지털 프로토타입실습 절차1) 휴리스틱 평가를 수행할 평가자를 선정한다.2) 브리핑 세션에서 디지털 프로토타입과 시나리오에 대한 작업지시서를 공유하고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3) 개별적으로 휴리스틱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보고서를 제출받는다.4) 디브리핑 세션에서 평가 결과를 취합..

[UX/UI 실습#11] 디지털 프로토타입 작성

과제 개요 종이 프로토타입의 제작 및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최종 개선된 시스템 디자인을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한다. 본 과제에서는 피그마(Figma)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최종 결과물의 웹 링크(URL)를 보고서와 함께 제출하도록 한다. 본 과제의 디지털 프로토타입은 모든 기능을 포함하지 않으며, 대표로 선정한 시나리오대로 작동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정도의 단순한 페이지 이동이나 인터랙션만을 포함한다. 실습 목표 : 종이 프로토타입으로 시행한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개선한 UI 디자인을 디지털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한다.준비물 : 이전 단계에서 작성한 종이 프로토타입과 사용자 테스트 결과물실습 절차1) 종이 프로토타입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개선한 UI 디자인을 최종 정리한다.2) 디..

[UX/UI 실습#10] 사용자 테스트 시행

과제 개요지난번 작성한 종이 프로토타입에 대해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수정한다. 계획을 수립하고 작업지시서, 관찰기록지 등을 준비하여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한다. 테스트 결과는 해석세션 회의에서 검토하여 심각도 순위를 할당한다.실습 목표각 시나리오 별로 작성한 종이 프로토타입에 대해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하고,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수정한다.준비물- 각 시나리오 및 시나리오 별 종이 프로토타입- 각 시나리오별 작업지시서, 모의 테스트를 위한 데모 스크립트- 사용자 목록 및 실험동의서, 태스크 별 관찰기록지실습 절차1) 사용자 테스트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모의실험 등 사전 준비를 수행한다.2) 종이 프로토타입을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한다.3) 테스트..

[UX/UI 설계 목차] 교안, 실습과제, 프로젝트 목록

UX 기반 UI 프로토타입 설계목차1장. 인터랙션 디자인 실습과제#1: 관심 있는 UI 사례조사 (Bad Design UI)2장. UI 디자인 방법론 실습과제#2: 팀 구성 및 프로젝트 주제 선정3장. UI 설계를 위한 프로젝트 방법론 실습과제#3 (Project#1):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4장. 사용자 연구와 데이터 수집 기법 실습과제#4: 사용자 분석 (초기 사용자 목록 작성)5장. 맥락질의 인터뷰 기법실습과제#5: 맥락질의 인터뷰 시행6장. 작업분석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실습과제#6: 작업분석 실시Project#2: 맥락질의 인터뷰와 작업분석7장. 아이디어 도출 및 페르소나실습과제#7: 아이디어 도출 및 페르소나 작성8장.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 실습과제#8: 시나리오 및 스토리보드 ..

[UX/UI 실습#09] 종이 프로토타입 제작

과제 개요 이번 과제에서는 UI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Low-Fi 프로토타입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각 팀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대표 시나리오로 선정한 5~6개의 활동 시나리오에 대한 종이 프로토타입을 작성한다. 각 시나리오에 따른 프로토타입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사용자 테스트를 준비한다.실습 목표앞에서 작성한 시나리오에 대해 종이 프로토타입을 작성한다. 시나리오 중 몇 개에 대해 종이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 테스트를 준비한다.준비물 : 앞 단계에서 작성한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실습 절차 : 종이 프로토타입의 제작 실습은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한다. 본 장에서는 2단계 실습까지만 진행하고 3단계의 평가 및 수정은 다음 장에서 실습한다.1) 준비 단계 : 반복 회차를 계획하고..

[UX/UI 실습#08]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 작성

과제 개요앞서 진행한 작업분석과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작업목록 및 페르소나를 대상으로 대표 작업을 난이도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선택하고 (난이도 혹은 복잡도 상,중,하 각 2개 이상씩), 시나리오 행렬표를 작성하여 시나리오 구성이 적절한지 검토한다. 최종 정리된 대표작업에 대해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실습 목표앞 장에서 작성한 개선된 작업목록과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하여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시나리오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논리 흐름을 텍스트로 표현하고, 스토리보드에서는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흐름을 스케치로 나타낸다. 준비물 : 개선된 작업목록, 페르소나실습 절차1) 시나리오 선정을 위해 페르소나별로 해당하는 작업을 할당한 시나리오 행렬표를 작성한..

[UX/UI 실습#07] 아이디어 도출 및 페르소나 작성

과제 개요작업분석 결과로 작성된 작업목록에서 문제점을 정리하고,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혹은 개선안을 도출한다. 문제점에 대해 HMW 질문을 진행하고 브레인라이팅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확장한 후 수렴과정을 거쳐 개선안을 마련한다. 그리고 앞서 수행한 맥락질의 인터뷰를 포함하여 사용자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목록을 다시 정리하고, 각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사용자를 선정하여 페르소나 목록으로 작성한다.아이디어 도출을 통한 작업목록의 개선안 작성 실습실습 목표앞 장에서 수행한 작업분석 결과인 사용자 목록과 작업목록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통해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혹은 개선안을 도출한다.준비물 : 사용자 목록, 작업목록실습절차 작업목록에서 도출된 요구사항으로부터..

[UX/UI 실습#06] 작업분석 실시

과제 개요 예상 고객의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제안된 과제의 작업을 분석한다. 지난번 맥락질의 인터뷰 수행을 통해 작성한 대상자별/작업별 인터뷰 결과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기법으로 작업에 따라서 분류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각 팀이 제안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될 작업, 즉 계층적 작업 목록을 도출해 낸다. 작업분석 실습 목표앞 장에서 수행한 맥락질의 인터뷰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특성과 실제 작업 환경을 분석하여 시스템 설계에 반영할 작업목록(Task List)을 도출한다.준비물맥락질의 인터뷰 관찰기록지 및 관련 자료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포스트잇, 몇 가지 크기의 종이, 컬러펜어피니티 월로 사용할 벽면 (바닥에서 하려면 넓은 보드지)실습 절차사용자 인터뷰 데이터를 포스트잇에 옮겨 적는다.사용자 목록을 재작..

실제 의사가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이유는?

병원에서 맞는 그 백신 말고 "컴퓨터 백신?"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단어는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하지만, 도대체 컴퓨터 악성 프로그램을 왜 ‘바이러스’라 불렀을까? 그 이유는 의외로 간단한데, 초기 악성 코드는 그 작동 방식이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했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복제하고, 주변 기기로 퍼지고, 때로는 특정 날짜에만 작동하는 ‘잠복형’까지 있었다. 피해 확산 구조도 ‘복제 → 전파 → 감염’이라는 전형적인 감염 경로를 따랐다. 이렇게 바이러스처럼 퍼지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치료했을까?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백신 프로그램(Antivirus)’이다. 실제로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백신을 통해 치료하듯, 컴퓨터도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게다가 실제..

[UX/UI 실습#05] 맥락질의 인터뷰 실시

과제 개요 이번 실습은 UX/UI 설계 과정에 있어 고객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배우고,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인터뷰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예상 고객의 실제 작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맥락질의 기법으로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한다.실습 목표예상 고객의 작업 과정(Work Practice)을 이해하기 위하여 맥락질의(Contextual Inquiry)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뷰를 한다.준비물: 앞 장에서 실행했던 사용자 분석 결과인 (초기) 사용자 유형 목록실습 절차1) 예상 고객 목록을 작성하고, 그중에서 예상 고객 4~5인을 선정한다. 단, UX/UI 설계 수업의 현재 혹은 지난 수강생은 제외한다.2) 사전 준비를 한다. 고객 인터뷰를 위한 준비자료를 챙긴다: 기록 장비 점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