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잇(it)잡/에피소드 35

실리콘 밸리의 실리콘은 우리가 아는 그 실리콘일까?

실리콘밸리의 실리콘은 고무가 아니라 모래를 뜻한다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만의 서쪽과 남쪽에 위치해 있다. 지금은 IT 중심지로 유명하지만, 원래는 과수원과 농산물 가공을 주로 하던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산업이 발전하면서 항공산업과 전기전자 산업이 자리 잡았다. 실리콘밸리라는 이름은 반도체에 쓰이는 규소(실리콘)와 지역의 지형적인 특징인 산타클라라 계곡(Santa Clara Valley)에서 따온 말이다. 1970년대부터 많이 쓰였고, 사실 이 명칭이 널리 퍼지게 된 건 반도체 관련 신문인 '일렉트로닉 뉴스'에서 돈 회플러(Don Höfler) 기자가 '실리콘밸리'라는 표현을 기사에서 사용하면서였다. 이때부터 지금처럼 유명한 실리콘밸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QWERTY 자판의 이름, 이런식으로? (걸그룹 밴드 QWER도?)

현재 로마자 입력으로 널리 사용되는 QWERTY 자판QWERTY 자판은 이름 그대로 키보드 위쪽 줄에 있는 6글자(Q, W, E, R, T, Y)를 따서 명명되었다. 이름이 간단하다고 해서 이 배열이 별다른 의미가 없는 건 아니다. 사실 이 배열은 초창기 타자기를 설계할 당시 타이핑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QWERTY 배열은 초창기 타자기에서 기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타자기, 컴퓨터, 스마트폰 등 모든 디바이스에서 대중적인 키보드 건반 배열로 자리 잡았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나 덧붙이자면, 인기 걸그룹 밴드 큐떱이알(QWER)의 이름도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원래는 일본어 이름으로 데뷔를 하려다가 급하게 QWER로 변경했다고 한다. 현재 큐떱이알..

CD의 용량은 베토벤 교향곡에 따라 74분으로 결정!

CD(Compact Disc)와 베토벤 교향곡 1980년대 초, Audio CD(Audio Compact Disc)는 LP를 대체할 새로운 음반 매체로 등장했다. 이를 개발한 필립스(Philips)와 소니(Sony)는 CD의 크기와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협력했는데, 그 과정에서 한 곡의 음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필립스는 CD 용량을 60분으로 제안했지만, 소니의 회장이었던 오가 노리오는 이보다 더 긴 재생 시간을 주장했다. 그의 기준은 바로 베토벤 교향곡 9번, 마지막 4악장 '환희의 송가(Ode to Joy)'였다. 당시 이 곡의 연주 길이는 약 70~74분으로, CD가 이 곡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결국 CD는 12cm 크기와 74분의 연속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계되..

SUN의 간판을 뒤 돌려서 META 정문 간판으로 사용하다!

SUN의 간판이 META(구, Facebook)의 간판이 된 이유 🤨 메타(META, 구 페이스북)는 SUN Microsystems의 본사 캠퍼스 부지 전체를 인수했을 때, 위 사진과 같이 본사 정문에 있었던 상징적인 입석 간판을 뒤로 돌려 메타의 간판을 만들어 세워두었다. 왜일까? META는 이 간판을 통해"과거의 혁신을 기억하고,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겠다"는 메시지를 담고자 했다.실리콘밸리에서는 SUN Microsystems가 일궈낸 놀라운 성과와 그 몰락의 과정은 오늘날 모든 스타트업과 기업에 중요한 교훈으로 남아 있다. 이는 실리콘밸리의 역사가 어떻게 과거의 성공과 실패에서 오늘날의 교훈을 이끌어내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SUN을 포함한 수많은 기업이 떠오르고 사라져 갔는데, 이제..

프로그램의 디버깅이란 진짜 벌레 잡기(De-bugging)이었다

버그(Bug)가 정말 벌레라고?  1947년 9월 9일, 하버드(Harvard) 대학교 컴퓨터 연구실에서 운영 중이던 Mark II 컴퓨터에서 갑작스러운 오작동이 발생했다. 컴퓨터 Mark II는 복잡한 회로와 기계식 부품들로 이루어진 대형 컴퓨터이다. Mark II의 개발팀의 일원이자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선구자였던 그레이스 호퍼(Grace Hopper)는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한 달 넘게 고생했지만 결국 찾지 못하였다. 원인 찾기를 포기하고 컴퓨터 대청소를 진행하던 도중,...  ... 컴퓨터 회로 안에 진짜 나방이 떡하니 끼어 있는 게 아니겠는가? 이 나방이 전기 흐름을 방해해 시스템에 오류가 난 것이었다! 그레이스 호퍼는 이 나방을 연구노트에 붙이고, "최초로 발견된 실제 버그(First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