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구글 크롬의 버전을 확인해 보니 @^@
2025년 3월 기준, 페이스북 앱과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버전은 다음과 같다.

- 안드로이드에서의 페이스북 최신 버전: 502.0.0.66.79 (Google Play 스토어 기준)
- iOS에서의 페이스북 최신 버전: 502.2.0 (App Store 기준)
- 구글 크롬 브라우저 최신 버전: 134.0.6998.166
버전 번호를 보면 뭔가 이상하다고 느낄 수 있다. 보통 소프트웨어는 출시 후 버전 1.xxxx에서 시작해, 주요 업데이트가 있을 때 2.xxxx, 3.xxxx로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벌써 502라는 숫자가 앞에 붙어 있다. 일반적인 규칙으로 보면, 이건 너무 크다. 이쯤 되면, 정말 정식 버전이 맞는지 의심이 든다.
페이스북은 아직도 베타 버전이다~
베타 버전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베타 버전이란 보통 개발 마지막 단계에서 외부 사용자 테스트를 위해 공개한 버전을 뜻한다. 정식 출시 전,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테스트 버전인 것이다
놀랍게도, 이 숫자들은 베타 버전의 번호라고 한다. 페이스북은 지금도 꾸준히 업데이트를 반복하고, 버그를 수정하며, 성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완벽하게 마무리된 소프트웨어라기보다는, 계속 변하고 고쳐지는 중인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서비스가 있다. 구글 지메일이다.
2004년 처음 출시된 지메일은 무려 5년 동안 ‘베타’ 딱지를 달고 있었다. 정식 서비스로 사용되었지만, 공식 명칭에는 계속 ‘베타’라는 단어가 붙어 있었다. 당시 구글은 "소프트웨어는 완성될 수 없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고,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이어갔다. 사람들은 이런 상태를 ‘영원한 베타’라고 부른다.
미완이기에 더 나아진다~ 영원한 베타!
소프트웨어에서 베타 버전은 테스트 버전이다. 아직 덜 완성된 상태이며, 미완성을 전제로 한다. 구글은 지메일을 통해 ‘베타 버전’이라는 개념 자체를 바꿔버렸다. 출시 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당연하게 만들었다. 소프트웨어는 완성될 수 없다. 언제나 더 나은 사용 경험을 위해 변화하고 발전해야 한다. 페이스북, 지메일, 그리고 수많은 서비스가 영원한 베타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소프트웨어 테스트버전과 영원한 베타의 의미를 알아보자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테스트 버전의 명칭
- 프리-알파(Pre-Alpha) : 본격 테스트 이전에 최종적으로 기능 점검
- 알파(Alpha) : 기본 기능 구현 완료, 기업 내 내부 테스트 진행
- 클로즈드 베타(Closed Beta) : 제한된 사용자 대상 테스트 및 피드백 수집
- 오픈 베타(Open Beta) : 일반 사용자 공개 테스트로 대규모 피드백 수집
- 릴리스 후보(Release Candidate, RC) : 정식 출시 직전 최종 점검 단계
- 정식 버전(Stable Version) : 공식 출시 및 배포, 이후에도 업데이트 진행
* 주의할 점: "개발자 테스트는 테스트가 아니다."
개발을 하다 보면 "개발자 테스트 단계이니 테스트팀에 넘기면 되겠네요"라는 말을 듣곤 한다. 하지만 개발자 테스트는 테스트가 아니다. 이는 코드 과정의 일부로, 내가 만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오류 없이 실행되는지를 확인하는 자체 검증에 불과하다. 이 과정 없이 코드를 넘기는 건 미완성 작업을 전달하는 것과 같다.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로 넘길 수 있는 기준은 명확하다. 개발자가 충분히 검증한, 완료된 작업만 테스트 단계로 전달해야 한다. 기능 동작, 예상 가능한 오류 처리, 기본 입력 값 테스트 등은 끝낸 상태여야 한다. 개발자 테스트 없이 QA에 넘기는 건 책임을 떠넘기는 행위일 뿐이다. 물론 개발자 테스트만으로 모든 문제를 발견할 수는 없으므로, QA팀의 전문 테스트가 필요한 것이다.

개발자 스스로 검증하지 않은 코드를 넘기는 건 개발이 아니다.
완료된, 검증된 코드만 테스트로 전달하는 것이 개발자의 기본자세이다.
영원한 베타(Perpetual Beta)의 탄생
웹 2.0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개발과 서비스 방식이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 블로그, SNS,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활성화되면서 사용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은 빠른 정보 공유와 확산을 가능하게 했다. 인터넷 환경의 발전으로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의 업데이트 내용이 신속하게 전달되었고, 사용자들의 의견도 빠르게 반영될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영원한 베타(Perpetual Beta)이다. 영원한 베타란 소프트웨어가 정식 출시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업데이트되어, 마치 베타 테스트 중인 것처럼 운영되는 상태를 뜻한다. 이는 “완벽한 소프트웨어는 없다”라는 인식에서 출발하며, 사용자 피드백과 기술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는 제품을 지향한다.
이러한 철학은 소프트웨어 배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에는 정식 버전을 한 번 출시한 후 큰 변경 없이 유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제는 작은 업데이트와 패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기능을 개선하고 버그를 수정하는 방식이 자리 잡았다. 결국, 웹 2.0 환경은 사용자 참여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영원한 베타라는 개념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는 소프트웨어 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영원한 베타의 특징
지속적인 개선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한 원칙으로 자리 잡았다. 제품이 출시된 이후에도 기능 추가와 버그 수정이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이 계속된다. 특히 사용자 피드백이 적극적으로 반영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제안한 개선사항이 업데이트에 반영되면서, 제품의 완성도가 점점 높아진다. 빠른 배포와 수정도 중요한 요소이다. 소규모 업데이트를 자주 배포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작은 개선과 수정을 반복하며 안정적인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끊임없는 혁신이 추구된다.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에 맞춰 새로운 기능을 실험하고 도입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정체되지 않고, 계속해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만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전망도 긍정적이다. 전통적인 정식 버전 출시 모델에서 벗어나, 영원한 베타 모델로 전환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게임,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완벽한 순간을 기다리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영원한 베타'가 도서에서도 등장!
웹 2.0에서 시작한 ‘영원한 베타’라는 개념이 일반 도서에서도 주제로 다루어졌다.
먼저, 2012년 호프먼(Hoffman)과 카스노카(Casnocha)는 「The Start-up of You」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베타 제품이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보완되듯, 개인 역시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고 발전해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와 정신이 바로 영원한 베타다.
그리고 2016년에는 케빈 켈리(Kevin Kelly)가 「The Inevitable」이라는 책에서 영원한 베타를 또 다른 관점으로 풀어냈다. 이 책은 앞으로 다가올 기술 변화와 미래 사회를 다루며, 모든 것이 계속 진화하고 변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케빈 켈리는 “모든 것은 영원히 미완성이며, 계속 진화한다”라고 말하며, 변화와 진화를 멈추지 않는 영원한 베타가 곧 자연스러운 상태임을 설명한다.
이처럼 영원한 베타는 다양한 분야에서 멈추지 않는 성장과 개선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다. 완벽을 기다릴 필요 없이, 매일 조금씩 더 나아지는 과정을 즐기는 것, 그것이 영원한 베타가 전하는 핵심 메시지다.

변화와 성장을 위한 영원한 베타의 자세
‘영원한 베타’라는 개념은 이제 소프트웨어를 넘어 자기 계발, 조직 성장, 창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인다. 이 개념은 회사나 서비스에도 적용된다. 시장과 기술 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며 발전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완성된 제품이 아니라, 계속 나아가는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는다.
자기 계발 분야에서는 완벽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하는 상태를 뜻한다. 누군가는 "나는 아직 영원한 베타야"라고 말하며 더 나은 자신을 위해 노력하고 변화하는 중임을 표현하기도 한다.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서 멈추지 않고 성장하려면,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배우는 자세,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피드백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완벽함을 바라기보단, 어제보다 나은 내가 되기 위해 오늘도 업데이트하는 것,
이것이 바로 영원한 베타를 살아가는 방법이다.
'알쓸잇(it)잡 > 에피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여행 갈 땐 데이터 로밍~! 준비 갈 완료! (3) | 2025.04.03 |
---|---|
킬러앱! 누구를 저격하나? (0) | 2025.03.31 |
<도널드 커누스>, “내 책 오류 찾으면 1달라(16진수)!” (0) | 2025.03.24 |
알고리즘의 조상 <알 콰리즈미>, "내가 기계야? 수학자야?" (0) | 2025.03.20 |
“살인의 추억”, 진범 누구냐? 넌? (0) | 2025.03.17 |